본문 바로가기
중국,대만,홍콩영화

푸른 연 籃風諍 1993년

by 꿈의 숲 2007. 4. 27.

 

푸른 연 籃風諍 1993년 드라마/중국

감독: 톈좡좡

출연: 여려평, 이설건, 역천


영화에 대한 이해

 

1993년 톈좡좡은 「푸른 연」에서 초기 작품에 나타났던 정치적*미학적 표현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다. 단 이번에는 서사적 이야기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그는 1950년대부터 문화혁명이 절정에 이를 때까지를 배경으로 서술된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중국 현대사를 비판적으로 그러나 비난이 아니라 유화적이며 조율된 상으로 그려 나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완성되기도 전에 중국에서 금지 당했다. 이 영화는 홍콩의 공동 제작자의 도움으로 외국에서 먼저 상영되었으며 나중에 비디오를 통해 중국의 텔례비젼에서 방영되었다. 이 일 때문인지는 몰라도 톈좡좡은 2년 동안 작업금지 조치를 당했다. 󰡔푸른 연󰡕은 여주인공의 외아들 다위(大雨)의 나레이션을 통해 베이징에 살았던 그의 가족사를 그리고 있다. 동네사람들은 모두 다위를 톄터우(鐵頭)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그런데 톄터우가 태어난 시기(1950년 초)와 장소(베이징)은 이 영화가 톈좡좡 감독 자신의 체험을 반영한 것임을 짐작케 한다. 그는 이 영화에서 예술적 양식화와 드라마틱한 연출을 추구하지 않고 소시민들의 일상적 생활을 낮은 목소리에 담아 서사적인 이야기로 만들었다. 영화에 등장하는 소시민들은 마오쩌둥의 선전정책을 따르는 인민대중으로 살아가기를 원하지 않고, 가급적 자신들의 삶이 정치와 이데올로기에 휩쓸리지 않기를 바란다. 강요된 이데올로기나 공산주의자들의 숭고한 이상은 그들에게 깊이 와 닿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개인의 작은 행복을 소중하게 생각한다. 적어도 그들은 그런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려고 한다. 이 영화가 금지당한 결정적인 이유는 관객 자신들도 영화 속 인물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일상의 이데올로기하에서, 정치선전과 잘못된 경제정책 하에서 고통받고있다는 것을 인식한다는 점 때문이다. 영화는 1953년 3월5일 스탈린의 사망소식을 알리는 라디오 방송이 흘러나오는 가운데 두 남녀가 결혼식을 올리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바로 이들이 톄터우의 부모이다. 스탈린 사망소식이 전해지는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두 사람의 앞날이 그렇게 순탄치 않으리라는 것을 관객들은 짐작할 수 있다. 얼마 후 톄터우가 태어나고, 1956년의 백화운동이 하나의 막간극처럼 다루어진다. 이 운동은 생존투쟁으로 변질되어 간다. 원칙은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당신은 좋은 기분을 유지해야 합니다.” 안과의사가 환자에게 처방으로 제시한 이런 원칙을 지키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바람에 펄럭이는 아이들의 푸른 연은 영화에서 희망과 불행을 동시에 상징한다. 톄터우은 아버지한테 매를 맞고 나서 이렇게 외친다. “나는 이 나쁜 아버지를 총으로 쏠 테야.” 톄터우는 그날 이후 아버지를 두 번 다시 못 보게 되리라는 것을 짐작이나 했을까.


‘대약진’과 경제위기를 지나 1960년대 초 새롭게 희망이 움튼다. 이 희망은 과거의 거창한 이상이 아니라 억압당하지 않는 소박한 사람들의 안정된 삶을 의미한다. 아이들의 푸른 연은 다시 지붕 위로 높이 펄럭인다. 톄터우의 엄마는 톄터우의 아버지가 우파로 몰려 노동수용소에서 죽은 뒤 남편의 직장 동료와 재혼하지만 두 번째 남편 역시 얼마 못가 병사한다. 그래서 그녀는 고심 끝에 아들의 장래와 생활의 안정을 위해 나이 많은 공산당 고위관료와 세 번째 결혼을 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문화혁명의 폭풍이 몰아친다. “그들은 이미 모든 것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대체 무엇을 더 원하는가?” 라고 톄터우의 할머니는 한탄한다. 얼마 후 급진파의 구호가 다시 거리를 뒤덮는다. 톄터우는 ‘권위의 전복’이라는 대자보에 따라 학교친구들과 함께 여교장에게 욕설을 하고 침을 뱉는다. 이 사실을 안 톄터우 엄마는 아들을 심하게 꾸짖는다. 이러한 사회적*가정적 혼란이 정점에 도달했을 때 영화는 끝이 난다. 톄터우의 계부는 홍위병에게 붙잡혀가 고초를 당하다가 1968년 11월에 죽는다. 톄터우의 엄마도 무사하지 못한다. ‘노동을 통한 재교육’을 받기 위해 노동수용소로 보내진다. 끌려가는 엄마를 구하기 위해 홍위병에게 덤벼들던 톄터우는 몰매를 맞고 기절한다.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큰 대(大)자로 누운 채 서서히 정신을 차려 가는 톄터우의 눈에 나뭇가지에 걸려 있는 푸른 연이 들어온다. 아니 희망 없는 미래를 응시한다.

결론은 과거를 기억하고 있는 관객들의 몫이다.


출처: 

중국영화사(2000.10.25 ) 도서출판: 이산

지은이: 슈테판 크라머 /옮긴이: 황진자

'중국,대만,홍콩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어 流星語 1999년  (0) 2007.04.27
성원 星願 1999년  (0) 2007.04.27
쏘리 베이비 Sorry Baby 2004년  (0) 2007.04.27
인지구 1986년  (0) 2007.04.27
천지영웅 天地英雄 2003년  (0) 2007.04.27